본문 바로가기
공부 일지/개인 공부 기록용

[클라우드 컴퓨팅] CLOUDTYPE

by Joshbla 2023. 5. 5.

서버를 운영하기위해 컴퓨터를 실제로 세팅하고 서버를 직접 설치하여 관리하는 방식을 온프레미스 방식이라고 한다.

 

그러나 실제로 직접 인프라를 구축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할 수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컴퓨터같은 IT 리소스를 사용자가 소유하지 않고 통신망,인터넷을 통해  제공하고

사용한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것을 말한다.

 

클라우드 서비스의 종류에는 3가지가 있다.

IaaS, PaaS, SaaS가 있다.

실제 예시로는

IaaS : AWS EC2, S3

PaaS : MS Azure, heroku, cloudtype...

SaaS : 구글 doc, 어도비 photoshop, 구글 클라우드, 네이버 클라우드...

등이 있다.

 

이중에서 이전 프로젝트에선 AWS EC2를 이용하여 서버 배포를 했었다.

프로젝트를 마치고 이런 저런 공부를 하면서 새로운 서버를 사용해보고 싶어졌고 AWS의 프리티어를 넘지 않기 위해

다른 클라우드 서비스를 찾게되었다.

 

그중 클라우드타입이 굉장히 쉽고 매력적이라고 생각하여 체험해보게되었다.

 

홈페이지: https://cloudtype.io/

 

모두의 플랫폼팀, 클라우드타입

클라우드타입은 클라우드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게 개발하고 배포할 수 있는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플랫폼입니다.

cloudtype.io

이용 가이드: https://help.cloudtype.io/guide/introduce

 

클라우드타입을 시작하기 전에

클라우드타입은 서버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고 편리하게 배포할 수 있는 컨테이너 기반 PaaS 클라우드 서비스입니다. 따라서 VM 및 VPS 기반의 클라우드와는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help.cloudtype.io

사용방법도 무척 간단했다.

회원가입을 하고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템플릿을 이용하여 원하는 개발언어를 고르면 자동으로 깃허브에 해당언어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젝트를 생성해준다.(기존에 있던 프로젝트도 불러올 수 있다.)

 

홈페이지내에서 CLI도 지원하고 Github Actions세팅하는 법도 자세히 나와 있어서 쉽게 적용할 수 있었다.

배포된 도메인은 자동으로 https인증까지 처리된다.

 

+ 추가

유료 서비스로 전환되었고 무료버전은 새벽마다 서버가 꺼져 다시 켜줘야한다.
테스트나 공부할 때 사용하기엔 좋은 것 같다.

'공부 일지 > 개인 공부 기록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젝트 역이요 - 리팩토링 1일차  (0) 2023.05.11
23/05/08  (0) 2023.05.09
23/04/18 에러로그  (0) 2023.04.18
Spring Boot, Web Socket으로 채팅 구현  (0) 2022.12.22
2022/10/04  (0) 2022.10.04